
한국퇴적환경준설학회(KEDS)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KOSSGE)는 지난 7일 서울역 연세세브란스빌딩에서 최재영 한국퇴적환경준설학회 회장과 황인성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장을 비롯한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5 한국퇴적환경준설학회 추계 학술대회 및 제1회 KEDS–KOSSGE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기후위기 시대의 퇴적토 통합관리 방안에 대한 국가적 해법을 모색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퇴적물, 퇴적토, 그리고 토양 어디로?”를 대주제로 삼았으며,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와 기후변화로 인해 수계 바닥의 오염퇴적토가 교란되어 발생하는 2차 오염 위험과 탄소중립에 미치는 악영향을 해결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통합관리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공동 심포지엄에서 최재영 회장은 두 학회가 퇴적 환경 문제를 함께 논의하는 것은 퇴적토와 토양 환경의 유기적 관계를 인정한 것이라며, 기후변화 시대의 통합 환경관리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고 이러한 통합적 접근이 환경 난제 해결의 열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인성 회장은 축사를 통해 토양, 지하수, 퇴적토의 경계를 허물고 실질적 환경 해법을 도출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해양부터 4대강까지 국가 수계 통합관리 방향 모색에 초점을 맞추어 전문가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안성모((주)한국항만기술단), 우준식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주현희(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사들은 해양퇴적물의 준설 역사부터 정화사업, 향후 추진 방향까지 준설 관련 내용을 상세히 다루었다.
윤현식((주)에니스), 신원식(경북대학교), 김찬국((주)오셔닉) 연사들은 준설 후 발생하는 퇴적토의 정화기술에 대해 적극적 처리 및 안정화 처리 방법을 논의했으며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백경오(한경국립대학교), 이동훈(동국대학교), 안진성(한양대학교), 박상현((주)에니스) 연사들은 4대강 자연성 회복 추진과정과 기계학습을 활용한 퇴적물 중금속 오염원 식별, 오염 준설토 재활용 방안 등을 발표하며 오염 퇴적토를 ‘폐기물’에서 ‘미래 자원’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을 소개했다.
참여 전문가들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퇴적토 관리가 단순한 수질 개선을 넘어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요소임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최재영 회장은 퇴적토 관리가 탄소중립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며, 퇴적토 정화기술은 이제 환경오염을 막는 방어 수단을 넘어 미래 자원을 창출하고 환경 부하를 줄이는 적극적인 기술이 되었다고 밝혔다.
황인성 회장은 기후위기 시대의 해법으로 학제 간 융합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이번 심포지엄이 바로 국가적 환경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답을 찾는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한국퇴적환경준설학회는 이러한 학계 및 산업계 교류를 통해 퇴적토 관리 및 정화 기술의 발전을 가속화하고자 내년 춘계 학술대회를 제주도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전파진흥주간] “우주시대, 6G 통신 핵심은 위성·AI 융합”](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2/news-p.v1.20251112.3970ab672d3f4e69a6a8581a005f2edd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