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그룹이 SK멀티유틸리티(SK엠유)와 울산GPS의 소수지분을 매각하기 위해 이달 21일 예비입찰을 진행한다. 우선협상대상자와는 올해 말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한 뒤 내년 초 자금 납입을 목표로 협상 속도를 높이고 있다.
1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엠유와 울산GPS 투자유치에는 글로벌 사모펀드(PEF)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맥쿼리자산운용을 비롯해 메리츠증권, 스틱얼터너티브자산운용, IMM인베스트먼트 등이 유력 투자자로 거론된다. 유동화 대상은 각사 지분 49%다. 이번 매각은 별도 투자유치 주관사를 두지 않고 SK그룹이 직접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SK 측은 21일 구속력 없는 인수의향서를 접수한 뒤 빠르게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딜이 속전속결로 진행되는 만큼 IB업계에서는 이르면 이달 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도 가능할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SK 측은 투자자와 연내 SPA를 체결할 방침이다. 만약 예정대로 딜이 진행된다면 내년 1분기 중 거래를 완료할 예정이다.
SK엠유는 SK케미칼(285130)의 100% 자회사다. 울산GPS의 경우 SK가스(018670)가 지분 99.48%를 보유했고 나머지 0.52%는 한국산업은행이 들고 있다. SK 측이 대주주 지위를 유지하면서 2대주주로 재무적 투자자(FI)를 새롭게 들이는 구도다. 신규 자금 조달을 통해 SK엠유와 울산GPS는 각각 수천억 원 규모의 여유 자금을 확보할 전망이다. SK는 양사의 기업가치를 도합 2조 원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어 투자유치 규모가 최대 1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점쳐진다.
쟁쟁한 운용사들이 대거 관심을 보이면서 이번 투자유치는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각 후보군은 물밑에서 인수를 검토하면서 구체적인 자금조달 방안까지 타진하고 있다. 불확실성이 부각된 시장에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창출되는 인프라 자산에 FI 측 관심이 큰 상황이다. 특히 굴지 그룹사인 SK가 보유한 자산이라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의지가 강하다는 전언이다.
SK엠유는 집단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 울산 지역에 전력을 공급 중이고, 울산GPS는 액화천연가스(LNG)와 액화석유가스(LPG)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세계 첫 복합발전소다. SK텔레콤이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대한 대규모 확장을 공언한 상황이다. 울산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SK엠유와 울산GPS가 데이터센터 확대 수혜를 입을 것이란 기대감도 관측된다.


![한투證, 롯데케미칼 PRS 6600억 품었다…메리츠와 ‘결별 수순’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2/2H0FCCWYKK_1.jpg)

![씨엠티엑스, 청약 증거금 13.8兆 몰렸다…올해 코스닥 IPO 중 '최고'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W6NAZB_1.jpg)
![이지스 인수 3파전…'승자의 저주' 우려 커진다[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VSZIA6_4.jpg)

![‘돌고 도는’ 엑시큐어하이트론 경영권… 손오공·더테크놀로지 새 주인으로[이런국장 저런주식]](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UR26YG_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