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오션 경영진이 1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을 만나 필리핀의 잠수함 도입 계획에 대한 협력 방안 등을 제안했다.
PNA 통신·GMA뉴스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 중인 마르코스 대통령은 한화오션 측으로부터 현지 잠수함 기지 및 유지·보수·운영(MRO) 센터 건설, 첨단 시뮬레이터 등을 활용한 필리핀 잠수함 지휘관·운용 인력 교원 지원을 제안받았다.
한화오션은 최첨단 소나(수중 음파 탐지기), 전투 시스템, 더 긴 잠항 시간과 더 조용한 작전 수행이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을 탑재한 도산안창호급 잠수함(SS-Ⅲ, 3000톤급)의 배치 계획을 마르코스 대통령에게 설명했다.
필리핀의 자주국방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 이전, 현지 산업계와 협력 계획도 제시했다.
이번 협력이 성사되면 오랫동안 잠수함 확보를 추진해 온 필리핀 해군에 역사적인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PNA는 전했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남중국해 전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2월 승인한 2조 필리핀페소(약 48조8000억원) 규모의 군 3차 현대화사업 계획을 통해 필리핀군 첫 잠수함 도입을 추진 중이다.
당시 마르코스 대통령은 한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이 잠수함 공급에 관심을 나타냈다고 전한 바 있다.
필리핀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다목적 전투기 FA-50 12대를 도입했고 추가로 12대를 구매할 예정이다. 또 HD현대중공업에 호위함·초계함·원해경비함(OPV) 10척을 발주하는 등 한국 방산업계와 협력해왔다.
한편 지난달 3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건조 계획을 승인했다며 미 필라델피아 조선소에서 잠수함을 건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조선소는 한화오션 자회사인 한화필리조선소다.
또 이번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도 같은 날 캐나다 차세대 잠수함 수주 사업과 관련해 거제 한화오션 조선소를 방문, 최근 진수한 3600톤급 잠수함 장영실함에 승선해 내부 시설과 장비를 둘러봤다.




![[APEC 2025]AI·SW 업계 “엔비디아와 협력, 'AI 3대 강국' 도약 초석 될 것”](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31/rcv.YNA.20251031.PYH2025103116260001300_P1.jpg)

![[속보] 한중, 李대통령-시진핑 정상회담 계기 MOU 7건 체결](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1/6207c47a-baa6-43bf-a068-3440cb50b92d.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