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이나 위로가 아닌, 욕이라도 좋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프로야구 KIA 타이거즈 간판타자 김도영(22)이 침묵을 깨고 다시 기지개를 켰다. 그는 지난 11일 늦은 밤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글을 올려 "올 시즌은 내게 짧고도 길었다. 부상으로 몸보다도 마음이 정말 힘들었지만, 팬분들의 응원 덕분에 다시 일어설 수 있었다"며 "비시즌 동안 영리하게 몸을 만들겠다. 올해 팀 승리에 기여하지 못한 만큼, 내년 그리고 앞으로 더 많은 힘이 될 수 있도록 열심히 준비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김도영은 지난해 KIA의 통합 우승을 이끈 주역이었다. 역대 최연소 30홈런-30도루를 달성하는 등 공·수·주에서 맹활약해 정규시즌 최우수선수(MVP)에 올랐다. 그러나 올해는 햄스트링 문제로 한 시즌을 거의 날리다시피 했다. 폭발적인 관심 속에 시즌을 시작했지만, 개막전에서 주루하다 왼쪽 햄스트링을 다쳤다. 한 달가량 재활을 거쳐 1군에 복귀했는데, 5월 말 도루를 하다 반대쪽 햄스트링이 손상돼 다시 전열을 이탈했다.
두 번째 부상은 더 심했고, 팬들의 시선도 곱지 않았다. 당시 이범호 KIA 감독은 "김도영이 도루 한두 개를 하는 것보다 다치지 않는 게 팀에 더 도움된다"며 만류했는데, 공교롭게도 그 발언 직후 부상이 나왔다. 김도영도 자신의 SNS 계정을 비활성화하고 두문불출하며 착잡한 마음을 표현했다.
그는 그 후 두 달 뒤인 8월 5일 다시 그라운드로 돌아왔다. 하지만 이틀 만에 수비 과정에서 다시 왼쪽 햄스트링에 문제가 생겼다. 4개월 새 3번째 햄스트링 부상. 결국 KIA는 "김도영이 잔여 경기에 출전하지 않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우승 엔진'을 제대로 가동하지 못한 KIA는 후반기 순위 경쟁을 이겨내지 못하고 8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햄스트링은 러닝, 점프, 방향 전환 때 주로 쓰이는 근육이다. 특히 급가속이나 급제동 때 부하가 크게 걸린다. 수비와 주루가 일상인 야수들은 늘 부상 위험에 노출돼 있다. 한 번 다치면 재발 가능성도 크다. 김도영은 시즌을 조기 마감한 뒤 약 3개월간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근육을 완벽하게 회복하는 데 집중했다. 이제 본격적으로 몸을 만들고 실전 복귀 준비를 시작할 시기다.
'무사 회복'을 알린 김도영이 내년 3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 출전하게 될지도 관심거리다. 지금 대표팀엔 송성문(키움 히어로즈)·노시환(한화 이글스)·문보경(LG 트윈스)·김영웅(삼성 라이온즈)·한동희(상무) 등 쟁쟁한 3루수가 포진했다. 노시환은 최근 대표팀 훈련에서 "내년에 도영이까지 오면 3루수 자리가 정말 말도 안 되게 좋다. 큰일 났다. 더 열심히 해야겠다"며 웃기도 했다. '건강한 김도영'은 분명 최고 3루수지만, 햄스트링 부상 위험은 작지 않은 변수다. 그는 "걱정이나 위로보다는, 욕이라도 좋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다. 그 관심이 나를 뛰게 한다"며 "내년엔 건강한 모습으로 꼭 팀에 도움이 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EASL] 안영준의 ‘활동량’과 ‘3점’, SK의 마지막을 배가한 힘](https://basketkorea.com/news/data/20251112/p1065614169793004_205_thum.jpg)
![[프로야구] 이동현, 투수코치로 6년 만에 LG 복귀](https://img.newspim.com/news/2025/11/12/25111217373570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