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대 은행인 KB국민은행은 거래 기업과 가계의 여신 등급을 5단계로 나누고 있다. 상위 첫 번째 구간은 기업의 경우 ‘AAA~BBB’이고 가계는 ‘1~5등급’이다. 두 번째 구간은 각각 ‘BBB~BB’ ‘6~8등급’ 같은 식으로 돼 있다. 은행별로 명칭과 범위에 차이가 있을 뿐 신용등급을 바탕으로 대출 가능 여부와 금리를 결정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문제는 외환위기와 2002년 카드 사태를 거치면서 국내 은행권의 신용등급(점수) 의존도가 지나칠 정도로 높다는 점이다. 외국계 은행의 고위 관계자는 2일 “외국계는 상환 능력을 먼저 보는데 한국 은행들은 담보를 최우선으로 따진다”며 “외환위기 직후 과거 대출 관행에 대한 반성으로 국내 금융사들이 신용평가 모델을 알려 달라고 한 적이 많았지만 이후 손쉬운 부동산담보대출을 급격히 늘리면서 이런 분위기조차 없어지게 됐다”고 전했다.
실제 가계만 해도 카드 사태와 대규모 개인 워크아웃을 거치면서 신용점수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이 굳어졌다. 나이스평가정보에 따르면 신용점수 800점 미만(1000점 만점) 국민은 지난해 말 현재 약 1527만 명에 달한다. 이 중 시중은행 대출이 사실상 어려운 700점 이하 인원도 294만 명이다.
문제는 국내 은행들이 신용점수(등급)에만 의존해 대출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대출 역시 다른 평가 기준이 부족한 상황에서 C등급 이하는 사실상 퇴출 및 여신 회수 대상으로 간주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국내 금융사들은 신용점수와 등급을 절대 기준처럼 여기고 있다”며 “인공지능(AI)과 마이데이터·정성지표 등 자료가 많아진 만큼 금융사도 기존의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조업 대출 6배 늘때 부동산업 214배…성장 갉아먹은 '보신주의'[생산적금융 대전환]](https://newsimg.sedaily.com/2025/11/02/2H0AS0KQ2P_3.jpg)



![[단독] 공정위, 두나무 정조준…'복합규제' 검토](https://newsimg.sedaily.com/2025/11/02/2H0ARA03DC_1.jpg)



![카뱅 신규 주담대 다음주 초 열린다…'오픈런' 우려도 [공준호의 탈월급 생존법]](https://newsimg.sedaily.com/2025/11/01/2H0A901LLL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