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그린 뉴딜, 인공지능 G3 진입 과제

2025-09-17

한국은 올해도 사상 초유의 열사병과 폭우 피해가 컸다.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남극 빙하가 연간 1.1㎞씩 줄면 해수면이 1m 상승한다는 연구도 있다. 빙하 감소는 중력 이상에 지구판 뒤틀림을 몰고 오고 혹한 혹서 폭우 폭풍 대지진 등 재앙을 초래한다.

물과 식량부족으로 하루 아사자가 1만 9700명, 4초에 한명씩 사망하고 있다. 또 870만 종의 생물 중 15분마다 1종씩 지구에서 사라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발표(2025.4.13.)에 따르면 코로나19 사망자는 709만 4447명으로 인류 초유의 대재앙으로 기록되었다. 자연 파괴로 동물들 먹이활동이 인간 생활에 파고들면서 미생물에 인간이 오염된 결과다.

세계 165개국이 교토의정서(1997년)와 탄소제로(2050년)를 선언했고, 국제사법재판소(ICJ)는 올해 7월23일 오염에 미대응하면 손해배상하는 법적 의무를 발표했다. 유엔 기후변화협약(1992 브라질)은 탄소배출권(ETS)을 주식 채권과 같이 거래를 제도화했다.

그린피스는 기온 2℃ 상승을 막기 위하여 2005년 기준 탄소 배출량의 55%를 절감 하는 운동을 벌였고, 애플 팀쿡은 2030까지 탄소발자국 제로화를 선언했다. 구글·메타·MS 등도 앞장서 2050 탄소 제로화를 수년 앞당길 계획이다.

온난화, 탄소제로 조치는 계속되고 있지만 효과는 기대난망이다. 공식 발표는 안됐지만 2024년 세계 탄소 배출량은 374억 톤으로 사상 최고치가 될 전망이며, 한국은 2024년에 약 6억톤, 세계 10위권으로 추계된다.

‘세일즈포스’ 최근 AI 보고서에 따르면 AI 연구 개발, R&D, 스타트업 등 한국의 AI생태계는 10점 만점에 1.8로 하위(미국 9.3)이다. AI 인프라, 일부 응용 기술, AI 준비 지수는 앞서 있어 AI를 받아들일 준비는 돼 있지만 인재와 투자가 뒤져 2군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향후 AI의 G3 강국을 표방한 이재명 정부는 100조 원 투자 공약에 이어 초대 미래 AI 기획수석 및 과기부 장관 임명, AI 전문 산학연 컨소시엄 5개사 선발 및 GPU와 데이터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5개사는 2026년 말까지 중간평가를 거치게 되고 최종 2곳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K-AI, 한국적 최적화된 인공지능(파운데이션, 클라우드, 플레폼), 피치컬 AI를 창출해 내게 된다. 기술경쟁을 통해 생활에 유익한 솔루션 보급에 앞장 서 G3 진입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는 전북과 경남에 피치컬 AI 실증단지를 지정하고 앞으로 많은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경남은 기존 산업에 휴머노이드와 자율모빌리티 모델로 키울 것이라고 한다.

전북은 어떤 그림을 그려야 할까. 새 그림에 그린뉴딜을 넣어보자. IT 강국, IOT, 의료 바이오 등 성공한 사업을 우선 K-AI와 결합하고 신재생에너지 및 SMR 확장, 화석연료 억제 등 생활분야에 피치컬 AI를 특화하는 등 개인 가정부터 RE100을 조기 확산시키자는 것이다. 세계가 놀란 쓰레기 종량제 정착 10년에 8조1,262억원의 수익을 올렸지 않은가. RE100 관련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아이템 군으로 그린뉴딜 K-AI를 꼽는다.

45억년 역사의 지구는 6번째 멸망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인간에 의한 환경오염이 원인이다. “자연은 스스로 자정하며 영구를 추구한다” 인간이 오염시킨 지구를 스스로 자정하는 진리를 ‘그린 뉴딜 K-AI’에서 찾자. 그리하여 지구를 회생시키고 그린 선진국으로 첫발을 내디뎌야 할 때다.

김일호 전북미래발전추진단 이사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그린 뉴딜 #인공지능 G3 진입 과제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