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예비 전원으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LNG발전소가 태양광 발전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용도로 가동될 때 보상을 확대하고 예비력 전원 전용 입찰시장을 열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한국자원경제학회장을 맡고 있는 조홍종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12일 서울 서초구 양재L타워에서 열린 ‘유럽 에너지전환 과정으로 본 한국 전력시장 개혁방안’ 세미나에서 “급격한 탈탄소 정책을 추진한 유럽은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구조로 인해 전기요금 급등, 공급불안, 산업 경쟁력 약화의 삼중고를 겪고 있다”며 “탈탄소가 탈산업화로 이어지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할 필요는 있지만 이 과정에서 기업에 과중한 부담을 줄 경우 역효과가 크다는 주장이다. 조 교수는 “독일에서는 기업의 해외 이전이 가속화되고 있고 스페인은 대규모 정전사태까지 겪었다”며 “유럽 전역에 걸쳐 전력공급 안정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계통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LNG 발전 용량시장 제도를 개선하자고 제안했다. 재생에너지 발전소는 발전량을 일정하게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력망 수요공급을 맞추기 위해 예비전원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원자력발전소나 석탄발전소에 비해 쉽게 전원을 조절할 수 있는 LNG 발전소가 제격이라는 이야기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LNG 발전소는 태양광 발전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전원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가 늘어나면 그만큼 예비 설비도 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용기 영산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에 따르면 실제로 예비 전원으로서 LNG 발전소의 역할은 확대되고 있다. 2019년 13.5TWh던 태양광 발전량이 2023년 34.6TWh로 늘어나는 동안 LNG 발전기의 연간 기동 횟수는 7380회에서 1만 4291회로 증가했다. 태양광 발전량이 늘어날수록 간헐성 대응을 위해 더 자주 LNG 발전소의 전원을 조절했다는 이야기다.
문제는 현행 제도가 이같은 예비전원의 역할에 대해 충분한 보상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발전소는 24시간 가동해야 가장 비용 효율적”이라며 “발전소를 처음 데우는 데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장비를 자주 켰다 끌수록 비용이 증가한다는 이야기다. 박 교수는 “발전기별로 기동 방식(열간·온간·냉간)이 다른데 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 열간기동 중심으로 보상이 진행되고 있다”며 기동비 보상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예비력 시장을 별도로 개설하는 방안도 제기했다. 전력 당국은 전력망 수요공급을 맞추기 위해 하루 단위로 전력 수요량을 예측한 뒤 전원공급 계획과 재생에너지 입찰시장을 통해 공급자를 정해둔다. 이때 실제 수요량이 예측치보다 높을 경우를 대비해 일정량 예비 전원을 준비해둔다. 이 예비전원을 당국이 일방적으로 정하기보다 별도 시장을 개설해 가장 비용 효율적인 사업자가 참여하도록 하자는 이야기다.
이운호 민간발전협회 부회장은 “LNG 발전은 재생에너지와 경쟁하는 발전원이 아니라 재생에너지 확대를 지원하는 파트너”라며 “정부의 에너지 전환 계획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라도 합리적 보상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로터리]산업 공동의 탈탄소 정책 시급](https://newsimg.sedaily.com/2025/11/12/2H0FDS9EPR_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