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고려대 논술, 수능 최저 맞추면 합격 가능성 7배↑
진학사 "등급컷 인근에 있다면 일단 논술고사 응시해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지난해보다 어렵게 출제되면서, 이번 주말부터 시작되는 대학별 논술고사의 실질 경쟁률이 크게 낮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올해 논술전형 경쟁률은 평균 43.45대 1이지만,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수험생이 대량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논술고사는 15일부터 주요 대학이 일제히 시행한다. 논술전형을 운영하는 44개 대학 가운데 14곳이 이번 주말, 15곳이 다음 주부터 시험을 치른다.
논술전형은 수능 최저 충족 여부가 합격 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꼽히며, 실제로 논술 당일 결시자가 많은 것도 가채점 결과 기준 충족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해 시험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진학사가 경희대·고려대·동국대·서강대 등 주요 대학의 지난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논술고사에 실제 응시해 수능 최저기준을 맞춘 인원은 최초 지원자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않았다.
고려대의 경우 과락자를 제외하면 실질 경쟁률은 9.13대 1로, 최초 경쟁률 64.88대 1의 7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해 수능 난도는 더욱 높았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EBS가 수능 직후 진행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44.6%가 '매우 어려웠다', 40.8%가 '약간 어려웠다'고 답해, '어려웠다'는 응답 비율이 85.4%에 달했다.
진학사는 가채점을 통한 성적 확인 후 논술 응시 여부와 정시 전환 여부를 빠르게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등급컷 인근 점수대라면 기준 충족 가능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만큼 우선 논술고사에 응시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전국매일신문] 백인숙기자
insook@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6 수능] 문·이과 모두 매서운 사탐런 광풍…"사탐 응시 이과생, 큰 이점 없을 수도"](https://img.newspim.com/news/2025/11/14/2511141100015670_w.jpg)
![[2026 수능] "1등급 커트라인, 국어 129~132점·수학 131~133점"](https://img.newspim.com/news/2025/11/13/251113213046074_w.jpg)

![[에듀플러스]수능 수학, “전년도 수능과 비슷하거나 좀 더 어렵게 출제…공통 과목 난이도 격차”](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3/news-p.v1.20251113.7f34d2a0186e433cabb9b916626dde99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