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종목 이야기] 中 '헝다자동차' 핵심 자회사, 파산∙청산 위기

2025-11-14

이 기사는 11월 14일 오전 10시5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AI 번역에 기반해 생산된 콘텐츠로, 11월 14일자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기사를 인용하였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헝다그룹(恒大集團 에버그란데 3333.HK)의 전기차 전담 개발사인 헝다신에너지자동차(0708.HK, 이하 헝다자동차)의 핵심 자회사가 파산∙청산 절차에 들어가면서, 헝다자동차가 또 한번 큰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11월 13일 헝다자동차는 내부 공시를 통해 톈진(天津)시 빈하이신구(濱海新區) 인민법원이 채권자가 제기한 '헝다신에너지자동차(톈진)유한공사<이하, 헝다자동차톈진>'에 대한 파산 및 청산 신청을 공식적으로 접수했다고 밝혔다.

'헝다자동차톈진'은 등록 자본금이 41억 위안에 달하는 헝다자동차의 자회사로, 톈진시 소재의 스마트 모빌리티 생산기지다. 다만, 해당 기지는 2024년 1월부터 생산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헝다자동차의 자회사가 파산∙청산 절차에 돌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올해 4월 1일 헝다자동차는 공시를 통해 헝다자동차의 간접 전액 출자 자회사인 '헝다헝츠(恒大恒馳)신에너지자동차(상하이)유한공사'가 상하이시 제3중급인민법원에 의해 관리인을 지정 받으며 파산∙청산 절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6월 말에는 광저우시 중급인민법원이 '헝다신에너지자동차(광둥)유한공사'의 회생 절차를 종결한다고 판결했다.

자회사들의 잇단 파산∙청산 이슈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헝다자동차는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처해 있다.

9월 30일 공시를 통해 헝다자동차는 "현재 유동성 위기가 여전히 존재하며, 잠재적 전략 투자자와의 논의가 성사되지 않았다"고 인정했다.

자금난에 대응하기 위해 헝다자동차는 비핵심 자산을 계속 매각하여 운영을 지원하고 자금을 보충하겠다고 밝혔다.

헝다자동차는 아직까지 2024년 실적보고서를 공개하지 않았고, 이에 올해 4월 1일부터 홍콩거래소에서 거래가 정지된 상태다. 별도의 공지가 있을 때까지 계속 거래 중단이 이어질 예정이다.

앞서 공개된 2024년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매출은 3838만 위안으로, 2023년 상반기의 1억5400만 위안 대비 75.17% 감소했다. 주된 원인은 '헝츠(恒馳) 5' 차량 모델의 판매 부진이다. 2024년 6월 30일 기준 헝다자동차의 누적 신에너지차 인도 수량은 1429대를 기록했다.

2024년 상반기 헝다자동차의 순손실은 202억5600만 위안으로, 순손실액은 2023년 상반기와 비교해 133억8000만 더 늘었다. 주목할 점은 2024년 상반기 손실 규모가 이미 2023년 한 해 전체 손실액(119억9500만 위안)을 초과했다는 것이다.

헝다자동차의 모기업이자 최대주주인 헝다그룹(3333.HK)은 올해 8월 25일 홍콩거래소에서 정식 상장폐지됐다.

중국 부동산 채무불이행(디폴트) 리스크의 발단이 된 헝다그룹은 심각한 유동성 위기로 2024년 1월 29일부터 거래 정지 상태였으며, 2025년 7월 28일 기준으로 18개월 연속 거래가 중단된 상태였다. 거래 정지 전 주가는 주당 0.163홍콩달러였고, 시가총액은 약 21억5200만 홍콩달러(HKD)에 불과했다.

2022년 6월 30일 기준 헝다그룹의 총부채는 2조4740억9000만 위안이며, 계약부채 8543억6000만 위안을 제외한 실제 부채는 1조6197억3000만 위안에 달했다.

2025년 7월 31일 기준 청산인은 총 187건의 채권 신고서를 접수했으며, 청구된 채권 총액은 약 3500억 홍콩달러(약 45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xx17@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