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치러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선 독특한 문제가 출제돼 수험생의 이목을 끌었다.
이날 국어영역 18~21번의 ‘수궁가’ 지문은 밴드 이날치의 ‘범 내려온다’ 노래를 연상시켰단 평을 받았다. 한 수험생 커뮤니티엔 “(문제를 푸는 동안) 머리에서 ‘범 내려온다’ 노래가 계속 들리는 듯했다”, “나도 모르는 사이 콧노래를 흥얼거렸다”는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수궁가 지문에는 엇모리가 “범 내려온다 범이 내려온다 송림 깊은 골로 한 짐승이 내려온다”라고 읊는 구절이 등장하는데, 이날치의 ‘범 내려온다’와 가사와 똑같아 멜로디를 연상시켰단 지적이다. ‘범 내려온다’는 2020년 한국관광공사의 해외홍보 유튜브 채널(이매진 유어 코리아·Imagine Your Korea)의 한국 홍보 게시물에서 배경음악으로 등장하며 유명세를 탔다. 해당 게시물의 조회수는 이날 기준 5300만회가 넘는다.
국어·영어 영역에서 수험생을 괴롭힌 고난도 문제에 공교롭게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가 등장한 것도 이목을 끌었다. 국어영역 14~17번은 칸트를 비롯한 영국과 프랑스의 현대 철학자들의 인격 동일성에 관한 주장을 이해하고 풀어야 하는 문제였다. 수험생 사이에선 (영혼을 곧 인격이라고 볼 수 있는지 등) 지문을 관통한 주제가 추상적이라 어려웠다는 평가가 나왔다. 영어영역 34번(빈칸 추론 문항)에 등장한 칸트 관련 문항엔 칸트의 ‘법이 안전과 평화뿐 아니라 자유를 보장해준다’는 철학적 내용이 바탕이 됐다.
이 외에 선형 열팽창 계수와 곡률, 곡률 반지름, 휨 민감도, 반응 완료 시간 등 과학·기술 분야 개념이 등장한 국어영역 10~13번(독서) 문제도 이목을 끌었다. 한 재수생은 “올해 국어영역은 쉬운 문제와 변별력 있는 문제의 간극이 크게 느껴졌는데 특히 선형 열팽창 계수 관련 지문은 문과생이라면 이해하기 어려웠을 것 같다”고 복기했다.
다만 해당 지문이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인지 여부에 대해 EBS 대표강사인 한병훈 덕산고 교사는 “지문에 명확한 근거가 제시돼 과도한 추론을 요구하지 않는다”며 “변별력 있는 고난도 문항이지만 킬러문항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평가했다. “해당 문항은 EBS 교재와 연계된 과학·기술 지문에 기반을 두며 교육과정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오늘의 전시] 바닥에 흩어진 조각을 자신의 감각으로 재배열하다](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146/art_17630055603168_1352e2.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