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급실의 하루는 결코 예측할 수 없습니다. 평온하던 시간에도 한 통의 신고 전화로 긴박한 현장이 열리고, 몇 분 뒤 구급차 사이렌 소리가 응급실 문 앞에서 멈춥니다. 누군가는 교통사고로, 또 누군가는 심정지로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그때 가장 먼저 환자 곁에 도착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환자의 생명줄을 붙잡는 이는 119 구급대원입니다. 그리고 병원에 도착하면, 그 생명을 이어받아 치료를 시작하는 이가 응급실 의료진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매일 수없이 이어지는 ‘생명을 잇는 협력의 순간들’ 속에서 도민의 생명을 지켜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의 응급의료 현장은 이상적이지 않습니다. 응급실은 상시 과밀화 상태에 놓여 있고, 의료 인력과 자원은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병상 회전율은 낮고, 중환자실은 늘 만석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환자를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소방과 의료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환자를 인계하는 절차를 넘어, 서로의 상황을 이해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의료진 입장에서 가장 절실한 것은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입니다.
구급대가 환자의 활력징후, 의심되는 임상 진단, 현장에서 시행한 응급처치 내용을 구체적으로, 표준화된 형태로 전달해 준다면 우리는 환자가 도착하기 전부터 인력과 장비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를 미리 알고 대비하는 몇 분의 시간은, 필요한 인력을 배치하고 응급처치 동선을 조정하는 여유를 만들어 줍니다.
단 몇 분의 차이가 환자의 생사를 가르는 현실에서, 정보의 질과 속도는 곧 생명과 직결됩니다.
반대로 응급실의 상황도 구급대와 실시간으로 공유될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중환자실이 포화 상태이거나 특정 진료과 인력이 부재한 경우, 구급대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병원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판단이 응급실 당직 의사 개인의 부담으로 남아 있었지만, 앞으로는 병원 전체가 참여하는 체계적 의사결정 구조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병원 내 응급의료센터, 행정부서, 진료과가 함께 수용 여부를 판단하고 책임지는 구조가 마련된다면, 훨씬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결국 응급의료의 핵심은 ‘사람과 사람의 연결’입니다. 현장에서 구급대원이 전하는 한 줄의 정보, 미리 준비된 의료진의 대응, 서로의 신뢰 속에 이루어지는 신속한 협의가 모여 한 생명을 살립니다.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응급의료의 현장은 혼자가 아닌, 소방과 의료가 함께 완성하는 하나의 생명선입니다.
응급실 의사의 눈으로 볼 때, 소방과 의료의 동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서로의 역할을 존중하고 신뢰하며, 한 걸음 더 발 빠르게 움직일 때 우리는 더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응급의료는 제도나 기술보다 사람이 만드는 안전망입니다. 구급대원 한 사람의 땀방울, 의료진 한 사람의 결단이 모여 도민의 생명을 지켜냅니다. 앞으로도 소방과 의료가 한마음으로 협력하며, 언제 어디서든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를 함께 만들어가야 합니다.
소방과 의료의 협력은 단순한 업무 협조가 아니라, 도민의 생명을 지켜내는 가장 든든한 약속이자,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가야 할 응급의료의 미래입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급의료센터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


![[지금, 명의] “방광암, 혈뇨 놓치지 않아야…흡연·화학물질 노출이 위험요인”](https://newsimg.sedaily.com/2025/11/01/2H0A9SWABB_1.jpg)


![“곰 잘 때려잡으면 공무원 시켜드려요”…인명 피해 급증에 파격 정책 내놓은 日 [지금 일본에선]](https://newsimg.sedaily.com/2025/11/01/2H0AA2V9X7_1.jpg)

![“자연스러움 기대했다가, 불안·우울”…유방암 재건수술, 뜻밖의 연구 결과 [헬시타임]](https://newsimg.sedaily.com/2025/11/01/2H0A9N0I5Y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