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모 전 KT 대표가 차기 KT 대표이사 후보 공개 모집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구 전 대표는 14일 입장문을 통해 이번 차기 대표 공모와 관련해 "KT의 역사도, 문화도, 기간통신사업자의 역할과 책임도 모르는 분들은 참여를 자제해 달라"고 밝혔다.

구 전 대표는 "KT 대표를 '좋은 일자리'라고 생각해 응모하는 분들 역시 자격이 없다"며 "KT 내부 인재 역량을 믿는다"고 했다.
구 전 대표는 2020년 자리에 올라 2023년 3월까지 KT를 이끌었다. 구 전 대표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부와 여권,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의 '황제 연임' 우려에 자진 사퇴했다. 구 전 대표는 최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자신이 부당한 압력을 받고 물러났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구 전 대표는 입장문에서 이를 다시 언급하며 당시 KT 대표 선임 절차를 비판했다. 그는 "3년 전 KT에서 벌어진 일들은 우리나라 기업 역사상 한 번도 없었던 일이며,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었다"며 "정관에 따라 추천된 대표이사 후보를 외부에서 개입하여 사퇴시키고, 사외이사들까지 사퇴하도록 하여 무려 6개월 동안 대표이사도, 이사회도 없는 기형적 경영 공백이 만들어졌다"고 했다.
현재 이사회의 구조도 문제 삼았다. 구 전 대표는 "이사회의 정당성은 훼손됐고, 경영의 연속성도 단절됐다"며 "올해 초 주총에서는 내년도 임기만료 예정 이사들이 임기 만료된 이사 4명 전원을 다시 추천하여 선임하도록 하고, 정관에도 맞지 않는 인사권 관련 규정을 신설하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결정을 이어왔다"고 말했다.
이런 이사회 아래에서 차기 대표 후보 심사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이 구 대표의 입장이다. 그는 "KT의 지배구조가 왜곡된 결과로 탄생한 이사회로부터 다시 '심사'를 받아야 한다면, 이는 3년 전 사태를 직접 경험한 사람으로서 온당한 길이 아니라고 판단한다"며 "회사가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에 빠졌다고 해서 전임자가 다시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힘줘 말했다.
내부 인재가 KT를 이끌어야 할 때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KT 내부에는 현재도 충분히 역량 있는 후보들이 많이 있고, 충분히 문제를 해결하고 회사를 이끌 수 있다고 본다"며 "내부 인재가 선택될 때 KT의 지배구조는 비로소 단단해진다"고 힘을 실었다.
김영섭 KT 대표 주도 아래 지난해 진행한 구조조정의 문제점도 언급했다. 구 전 대표는 "비용구조 개선이라는 이름으로 수천 명의 직원이 회사를 떠났고, 약 2000명의 직원은 자신의 직무와 무관한 일을 하고 있다"며 "KT의 사업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임원들이 경영진에 들어왔고, 2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전체 임원의 4분의 1 이상이 외부에서 영입됐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구 전 대표는 "KT 구성원을 존중하고, 내부 인재의 역량을 믿으며, 조직을 건강하게 이끌 수 있는 대표가 선임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강조했다.




![[단독] 특검 “김건희, 통일교에 국힘 당대표 권성동 지지 요청”](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14/news-p.v1.20250910.eaed30e30146434d85caf6d4987aaf3e_P1.webp)


